잡곡중 기장 기장은 한자로 직(稷)으로 씁니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니 메기장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사직(社稷)은 토지신과 오곡신인데 사직에서의 직은 메기장을 나타냅니다. 그럼 찰기장은 무엇일까요? 찾아보니 黍(기장 서)라고 나옵니다. 즉 찰기가 있는 것을 黍(서)라고 하고 찰기가 없는 것.. 조, 수수, 기장, 메밀 2009.09.06
기장(의식주를 통해 본 중국의 역사) 찹쌀, 조, 기장등을 끓인 다음 누룩을 넣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술이 완성된다. 술을 빚는 재료로는 기장이 으뜸이었다고 하는데, 차지지 않아 맑은 술을 빚을 수가 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술은 알코올 농도가 높지 않은 발효 곡주였기 때문에 그다지 독하지 않았다. 옛날에 술고래들이.. 조, 수수, 기장, 메밀 2007.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