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밀, 기타 맥류

[스크랩] [Weekend inside] 우리 밀 화려한 부활

산들행 2012. 8. 4. 12:10
[Weekend inside] 우리 밀 화려한 부활
http://media.daum.net/v/20120804044647338

출처 :  [미디어다음] 경제일반 
글쓴이 : 서울신문 원글보기
메모 :

우리 밀 화려한 부활

지구촌 애그플레이션 우려 심화국내 밀산업 위기는 기회다

 

 

밀은 쌀, 옥수수와 함께 세계 3대 곡물로 꼽히며 인류의 농경 시작과 함께 재배된 작물이다. 밀은 국민 1인당 연간 31을 소비하여 쌀(71.2) 다음 가는 주식이지만, 우리 밀은 몰락의 역사만 거듭했다. 값싸고 질 좋은 수입 밀에 밀려 한때 자취를 감추다시피 했던 우리 밀. 그러나 최근 국제 곡물가격 급등과 애그플레이션(agflation·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심화되면서 '화려한' 부활을 꿈꾸고 있다.

 

··옥수수 3대 곡물국내 쌀 이어 2위 주식

 

밀은 1~15000년 전 코카서스산맥 남부에서 처음 재배가 시작됐으며, 기원전 100년 무렵 한반도에 전래됐다는 게 학계의 관측이다.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기원전 200~100년의 것으로 추정되는 밀 유적이 발견됐다. 현재 주요 밀 생산지인 북미는 신대륙 발견 이후인 1500년대 들어서야 재배가 시작됐다.

 

우리나라의 밀 생산이 처음부터 저조했던 것은 아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1970년에는 9700에서 219000t이 생산됐으며, 자급률은 15.9%에 달했다. 그러나 1982년 밀 수입이 자유화되고, 1984년 정부의 국산 밀 수매제도가 폐지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했다. 밀 자급률은 19804.8%로 급락했고, 1990년에는 0.05%까지 곤두박질쳤다.

 

무너진 밀의 생산기반을 되살리려는 움직임은 1990년대 들어 나타났다. 민간 주도로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이 시작됐다. 농민과 소비자 16만명이 모여 36억원의 기금을 모았고, 1996년에는 2787에서 1932t의 밀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1990년 우리 밀 총 생산량이 1000t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성과를 거둔 것이다.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밀은 식량 안보를 위한 중요한 곡물로 부각됐다. 특히 2008년 기상이변으로 애그플레이션이 전 세계를 강타, 밀 자급률 확대의 필요성을 각인시켰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밀 자급률을 2015년까지 10%, 2020년에는 15%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단계적인 밀 육성에 나섰다.

 

정부 자국산 밀 전량 수매가격 낮춰

 

우리 밀을 살리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수요 확보다. 지난해 생산된 우리 밀은 44000t으로 국내 소비량의 2.2%에 불과하지만, 절반 가까운 2t이 재고로 쌓여 있다. 올 연말에는 재고가 4t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래서 농식품부는 최근 '우리밀 1먹기 운동'을 전개하고, 학교와 군 급식에 우리 밀 공급을 늘리는 등 수요 확보에 나섰다.

 

우리 밀이 시장에서 외면당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4036000(도매가격)인 우리 밀은 수입산(2만여원)보다 80%가량 비싸다. 시장 논리에 맡겨서는 수입산과의 가격 차이를 극복할 수 없는 만큼,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은 정부가 자국산 밀을 전량 수매해 가격을 낮추고 있으며, 밀 자급률을 14%까지 끌어올렸다.

 

"시장 논리론 수입산과 경쟁 안돼정부 나서야"

 

이한빈 국산밀산업협회 상임이사는 "이모작이 가능한 밀은 수요만 있다면 생산량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수입산과 우리 밀의 가격 차이를 줄이고 기업들의 구매를 적극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밀은 글루텐(곡류에 들어 있는 단백질) 함량이 낮아 제빵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특화 상품 개발을 통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 송동흠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사무국장은 "프랑스와 일본은 국내 생산된 밀을 바게트나 우동 제조에 쓰며 수요를 확보했다.""우리도 가공업체가 가격 부담 없이 국산 밀에 접근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신문 | 입력 2012.08.04 0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