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현미의 독 피틴산, 발아현미와 조상의 슬기 쌀에도 독이 있다. 천적인 새를 쫓기 위해 벼 알곡이 독을 품은 것이다. 인류는 천 년 동안 벼를 개량했지만 독성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였다. 소화불량을 일으키고 철분을 파괴하여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피틴산酸 때문인데, 주로 씨눈에 들어 있다. 그래서 벼를 빻아 겉껍질인 왕.. 벼, 쌀 2017.09.05
증보산림경제에 처음 나오는 고추, 고구마, 옥수수, 담배 증보산림경제는 홍만선의 <산림경제>(1715)를 증보하여 1766년 유중림이 편찬한 한문농서이다. 가장 큰 특징은 그간 다루지 않았던 고추와 고구마가 처음 등장한다는 점이다. 고추는 1700년대 초반까지 음식 조리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 책에는 고추 재배법과 고추장 만드는 법이.. 작물일반 2017.09.03
젓갈과 고추를 넣은 김치의 등장, 김치와 짠지의 차이 이 책(규합총서, 1809년)에 등장하는 김치에는 해물, 젓갈, 고추 등이 본격적으로 사용된다. 섞박지는 무와 배추를 절여 독에 담고 가지, 동아, 젓갈, 고추, 양념, 해물 등을 켜켜이 올린 뒤 조기젓국, 굴젓국으로 맛낸 김치국을 넉넉히 부어서 우거지를 덮어 익힌다. 어육김치는 절인 오이나 .. 작물일반 2017.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