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현미의 독 피틴산, 발아현미와 조상의 슬기 쌀에도 독이 있다. 천적인 새를 쫓기 위해 벼 알곡이 독을 품은 것이다. 인류는 천 년 동안 벼를 개량했지만 독성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였다. 소화불량을 일으키고 철분을 파괴하여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피틴산酸 때문인데, 주로 씨눈에 들어 있다. 그래서 벼를 빻아 겉껍질인 왕.. 벼, 쌀 2017.09.05
증보산림경제에 처음 나오는 고추, 고구마, 옥수수, 담배 증보산림경제는 홍만선의 <산림경제>(1715)를 증보하여 1766년 유중림이 편찬한 한문농서이다. 가장 큰 특징은 그간 다루지 않았던 고추와 고구마가 처음 등장한다는 점이다. 고추는 1700년대 초반까지 음식 조리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 책에는 고추 재배법과 고추장 만드는 법이.. 작물일반 2017.09.03
젓갈과 고추를 넣은 김치의 등장, 김치와 짠지의 차이 이 책(규합총서, 1809년)에 등장하는 김치에는 해물, 젓갈, 고추 등이 본격적으로 사용된다. 섞박지는 무와 배추를 절여 독에 담고 가지, 동아, 젓갈, 고추, 양념, 해물 등을 켜켜이 올린 뒤 조기젓국, 굴젓국으로 맛낸 김치국을 넉넉히 부어서 우거지를 덮어 익힌다. 어육김치는 절인 오이나 .. 작물일반 2017.09.03
편찬 시기의 단서를 잡는 고추와 느르미 편찬 시기의 단서를 잡는 고추와 느르미 고조리서를 보다 보면 편찬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고문헌학자들이 종이의 재질이나 서체 등을 확인하여 편찬 시기를 가늠하지만, 기록된 음식 내용을 보고도 시기를 판단해볼 수 있다. 이때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것이 고추.. 작물일반 2017.09.02
반고흐의 명작 농촌 그림, 감자를 먹는 사람들 빈센트 반고흐의 <감자를 먹는 사람들,1885년> 고단한 하루 일과를 마친 농부 가족이 식사를 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감상 포인트는 어두운 배경과 대조되어 유독 밝게 그려진 노란 감자이다. 이 당시 감자는 가난한 소작인들의 주식이자 생명줄이었다. 이 그림은 감자를 중심으로 .. 고구마, 감자 2017.08.30
남겨둘 줄 아는 사람 남겨둘 줄 아는 사람 내가 가진 것을 다 써 버리지 않고 여분의 것을 끝까지 남겨둘 줄 아는 사람..... 말을 남겨두고, 그리움을 남겨 두고, 사랑도 남겨두고, 정도 남겨두고, 물질도 남겨두고, 건강도 남겨두면서 다음을 기약하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입니다. 말을 다 해버리면 다음에는 공.. 주정 이야기 2017.08.24
전주 용진집 막걸리 용진집 막걸리 삼천동 막걸리골목에 우리 분임 모인 까닭은 함께 한 정을 잔에 담아 격하게 돌리기 위해서다. 빈 접시 치워지고 가득 찬 주전자가 날으면 막걸리집 우리들의 결의가 온몸에 녹아든다. 동백꽃 아니 피어 막걸리집 육자배기 가락이 없었다고 내가 부르리.... 노래방에 울려 .. 주정 이야기 2017.08.24
인구 증가에 기여한 감자의 전래, 최음제, 마령서, 고혈압과 당뇨 감자하면 포테이토칩이나 프랜치프라이를 떠올려 간식거리로 생각하지만 쌀, 밀, 옥수수와 더불어 세계 4대 식량작물이다. 1845년에서 1852년까지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대기근이 감자 생산량의 감소 때문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는데, 그만큼 인류는 감자에 의존하고 있다. 감자는 약 7,0.. 고구마, 감자 2017.08.23